응용 프로그램 > 유틸리티 > 키체인 접근 메뉴 실행
키체인 접근 > 인증서 지원 > 인증 기관에서 인증서 요청 실행
인증서 발급 정보를 입력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입력 |
2 | 사용자 이름을 입력 |
3 | 디스크에 저장된 선택 |
4 | 계속을 선택하여 CSR파일 저장경로를 선택하고 저장 |
http://developer.apple.com 애플 개발자 센터에 접속한다. Account 메뉴를 선택한다. Certificates, Identifiers & Profiles 메뉴를 선택한다.
왼쪽 상단의 + 버튼을 눌러 인증서를 추가한다.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XCode 11이상 버전에서부터 사용하는 개발용 Apple 인증서 XCode 11버전에서 부터 MacOS, tvOS, watchOS인증서가 통합되었다 기기에서 앱을 실행하고 앱 기능을 사용할 때 사용 |
2 | XCode 11이상 버전에서부터 사용하는 배포용 Apple 인증서 테스트 앱을 배포하거나 App Store Connect에 업로드 할 때 사용 |
3 | XCode 11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는 개발용 인증서 |
4 | XCode 11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는 배포용 인증서 |
5 | 생성하려는 인증서를 선택 후 Continue |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키체인 메뉴에서 확인할수 있는 인증서 배포용 인증서의 경우 iPhone Distribution 으로 시작하며 계정 이름이 표기된다. 개발용 인증서의 경우 iPhone Developer 로 시작하며 개인 이름이 표기된다. |
2 | 인증서를 생성할 때 사용된 개인키 해당 개인키는 맥에 종속되어 있으며 cer파일을 다른 맥에 등록 시 개인키가 없으면 인증서는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. 인증서 공유시에는 해당 개인키를 같이 묶어 내보내기 하여 공유하여야 한다 |
http://developer.apple.com 애플 개발자 센터에 접속한다. Account 메뉴를 선택한다. Certificates, Identifiers & Profiles 메뉴를 선택한다. Identifiers 항목을 선택한다.
왼쪽 상단의 + 버튼을 눌러 App ID를 추가한다.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App ID를 선택하여 추가 App ID외에도 앱그룹, 뮤직, 지도, 서비스등의 ID를 추가할수 있다 |
2 | Continue를 눌러 다음으로 이동 |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App ID에 대한 설명 (이름) |
2 | App ID앞에 붙는 prefix 키값 일반적으로 Team ID로 선택된다 앱 간 처리를 할 때 Prefix를 기준으로 동일한 계정의 앱으로 처리 된다. |
3 | 명시적 앱아이디, 실제로 배포될 앱 아이디 |
4 | 와일드 카드 앱아이디 마켓등의 배포가 불가 하고 Capabilities를 활성화 할 수 없다 |
5 | 도메인의 역순으로 보통 생성을 한다 와일드 카드의 경우 * 등으로 bundle ID를 등록하여 번들 아이디와 상관없이 앱을 빌드 할수 있다. |
6 | Push, Game Center, iCloud 등의 기능을 사용할거라는걸 명시해주는 항목 와일드 카드의 경우 해당 항목이 비활성화 된다. |
7 | Continue를 선택하여 앱아이디를 등록한다. |
http://developer.apple.com 애플 개발자 센터에 접속한다. Account 메뉴를 선택한다. Certificates, Identifiers & Profiles 메뉴를 선택한다. Devices 항목을 선택한다.
왼쪽 상단의 + 버튼을 눌러 Device ID를 추가한다.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Device ID를 관리할 이름을 지정 |
2 | 기기의 고유값인 UDID를 등록, UDID를 확인하는 방법은 "4. UUID를 확인하는 방법" 참고 |
3 | Txt파일을 사용하여 여러 단말기를 일괄적으로 등록할수 있음 |
4 | Continue이후 화면에서 register를 선택하여 단말기를 등록 |
XCode에서 확인하는 방법 XCode > Window > Devices and Simulators를 선택하여 뜬 팝업에서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. Identifier 부분이 UDID, 해당 항목을 복사하여 사용
iTunes에서 확인하는 방법 iTunes > Device > 요약 > UDID 항목에서 확인이 가능 해당 항목은 토글 방식으로 누를 때 마다 모델식별자, 일련번호, UDID, ECID 등으로 변경되며 표기 된다.
http://developer.apple.com 애플 개발자 센터에 접속한다. Account 메뉴를 선택한다. Certificates, Identifiers & Profiles 메뉴를 선택한다. Profile 항목을 선택한다.
왼쪽 상단의 + 버튼을 눌러 Device ID를 추가한다. Edit버튼을 선택하여 기존의 생성된 Profiled을 수정 갱신할 수 있다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개발용 인증서로 생성하는 Provisioning Profile로 단말 디버그가 가능하다. |
2 | 배포용 인증서로 생성하는 Provisioning Profile로 단말 디버그가 불가능하고 실사용 환경으로 테스트를 진행할 때 사용된다. |
3 | 배포용 인증서로 생성하는 Provisioning Profile로 앱스토어 업로드 용으로 사용된다 1,2와 달리 ipa파일을 생성할 수 없고 단말기를 지정하지 않는다 |
4 | 항목을 선택후 Continue 다음 진행 |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+ 버튼을 선택하여 Apple ID를 추가 할수 있다 |
2 | + 버튼을 선택했을 때 팝업 Apple ID를 선택하고 Continue |
3 | 다음 프로세스에서 애플 계정 정보를 입력 후 등록 |
4 | 등록된 Apple ID를 기준으로 인증서를 추가 삭제할수 있다 |
5 | 등록된 Apple ID를 기준으로 생성된 Provisioning Profile을 맥에 동기화 한다. |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자동 적용, 수동 적용을 선택하는 체크 박스 |
2 | 자동 적용일 경우에 Team 항목이 활성화 된다. |
3 | 등록된 Team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인증서, 프로파일등이 설정이 된다. 해당되는 프로파일등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생성하여 설정 된다 |
4 | 자동 적용 시 오류 사항이 있을 경우 Status 항목에 관련된 오류 항목이 표기 된다. |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자동 적용, 수동 적용을 선택하는 체크 박스 |
2 | 수동 적용일 경우 XCode에 설치된 Provisioning Profile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활성화 된다. |
3 | Provisioning Profile이 선택되면 해당 프로파일과 매칭되는 인증서가 표기 된다. |
4 | Provisioning Profile 선택 시 문제가 발생될 경우 Status에 오류 사항이 표기된다. |
번호 | 설명 |
---|---|
1 | 자동 적용, 수동 적용을 선택하는 항목 |
2 | 수동 적용일 경우 Provisioning Profile을 선택할 수 있다 자동일 경우 해당 항목은 Automatic으로 변경 된다. |
3 | 적용될 인증서를 선택하는 항목 |
4 | 자동 적용 시 사용되는 Team 선택 항목 |